본문 바로가기
Study/Lymphedema

림프계의 구성 1편 - 림프부종<대한림프부종학회> 발췌

by Uncle.RR 2023. 1. 27.
반응형

림프계의 구성(Components)

 

림프계의 구성은 기능적으로 순환계(circulatory system)와 면역계(immune system), 해부학적으로는 림프관(lymphatic vessels)과 림프조직(lymphtic tissue)을 나뉜다. 림프관은 림프액을 수송하고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림프조직은 림프절, 비장, 흉선, 장관읜 페이어반(peyer’s patch), , , 골수의 림프조직 등을 포함하며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림프의 수송 모식도

 

1)    림프관(lymphatic vessels)

림프관은 혈류 공급이 있는 모든 곳에서 존재하지만, 중추신경계와 손톱, 각막, 머리카락에서만 발견되지 않는다. 림프관은 림프 모세관, 전집합관, 집합관, 림프관줄기로 나뉜다. 이러한 림프관들은 혈관과 유사하게 모두 내피세포의 특수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단백질이 풍부한 림프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집합관과 집합관은 내피세포층 바깥쪽에 결합조직층(connective tissue layer)이 있고 집합관은 평활근으로 이루어진 근육층도 있다. 근육층의 세포는 내층(inner layer)에서는 종축의 방향(longitudinally)으로, 외층(outer layer)에서는 고리모양(annular fashion)으로 분포한다. 집합관의 벽은 정맥의 벽과 유사하게 내막(tunica interna), 중간막(tunica media), 외막(tunica externa)의 세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림프관은 흡수관(resorption vessels)과 이동관(conducting vessels)이 있다. 림프모세관은 흡수관이고 집합관과 림프줄기는 림프 모세관에서 흡수된 림프를 이동시키는 이동관(conducting vessels)의 역할을 한다. 전집합관은 두 가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데, 역할적인 면에서는 이동관이지만, 림프모세관의 특징을 동시에 가져 림프를 흡수할 수도 있다. 모세관을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림프관들은 림프액의 흐름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밸브가 있다.

 

(1)   림프 모세관(lymph capillaries)

림프 모세관은 초기 림프관(initial lymph vessels)으로 부르기도 하며, 림프 이동 체계(lymph drainage system)의 시작이다. 림프 모세관은 점막과 피부의 내피하층의 간질 공간에 막힌(closed) 또는 종말관(dead end tube)의 형태로 모세혈관과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다. 림프계의 림프 모세관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처럼 신체의 전반적인 표면을 감싸는 단위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초기 림프관 얼기(initial lymph vessel plexus)라 하기도 하며, 손가락(flexor aspect), 손바닥, 그리고 발바닥 부위에서 더 촘촘히 구성되어 있다.

 

림프 모세관은 모세혈관과 유사하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다. 림프 모세관은 모세혈관에 비해 조금더 크고(최대 100의 직경) 불규칙한 내강(more irregular lumen)을 가지고 있으며 투과성이 더 높다. 이러한 독특한 구조 때문에 림프 모세관은 단백질처럼 큰 분자를 흡수할 수 있다. 림프 모세관의 편평한 내피 세포는 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포 이음부가 아주 치밀하게 구성(tight junction)되어 있고, oak leaf-shpae으로 생겨 서로 서로 겹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겹침 구조는 inlet valve (open junction)를 구성하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단백질, , 그리고 분자의 크기가 큰 물질들이 심혈관계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림프 모세관은 섬유세포(fibrocyte)들의 그물로 이루어진 세포사이 공간(간질 공간)에 있다. 세포사이 공간은 모세혈관 고리(capillary loop), 콜라겐 섬유(collagenous fibers), 탄력 섬유(elastic fibers), 그리고 고정잔섬유(anchoring filament)로 이루어진다. 고정잔섬유(anchoring filament)는 반탄력섬유(semi-elastic fibers)로써 림프 모세관 주변에 있는 결합조직과 림프 모세관의 내피하 세포에 위치해 있는 미세섬유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이것은 세포사이 공간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도 림프 모세혈관의 inlet valve가 열려 있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림프 모세관의 가장 큰 역할은 림프 부하를 흡수해서 림프계로 보내는 림프형성(lymph formation)이다. 모세혈관의 약 20%정도가 여과되어 간질에 남고 이것은 간질액의 부피와 압력을 증가시킨다. 더 많은 수분이 축적될수록 많은 결합조직섬유가 서로 당겨지게 되고, 이것은 주변 섬유 네트워크와 림프 모세관을 연결되는 고정잔섬유를 당기게 된다. 고정잔섬유는 이러한 힘을 림프 모세관으로 전달하고 inlet valve가 열린다. 주변 조직의 압력이 높고 림프 모세관의 내강의 압력이 낮아지면 흡입효과(suction effect)가 나타나게 되어 조직 수분과 다른 물질들이 간질액에서 림프계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 림프 부하가 림프 모세관으로 흡수되는 움직임(, 림프생성)은 림프 모세관 내에 림프가 충분히 차면 멈추게 되는데 이는 림프 모세관내의 압력이 주변 간질 조직내의 압력보다 높아져 inlet valve가 닫히기 때문이다.

 

림프생성은 림프 모세관의 열림과 닫힘에 의한 간질공간내의 수분의 양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은 혈액 공급과 모세혈관으로부터의 수분 초 여과가 일어나는 지역에서 계속 발생된다. 또한, 림프 모세관의 열림과 닫힘은 림프마사지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결합조직에 조작을 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림프 부하의 림프계로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림프 모세관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밸브가 없다. 따라서 림프액은 자유롭게 초기 림프관 얼기(initial lymph vessel plexus)를 통해 자유롭게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는 전집합관이 좀 더 내강이 크기 때문에 림프 모세관보다 저항이 적어 림프 모세관에서 전집합관으로 이동한다.

 

반응형